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장상록박사 지방세이야기

인허가의제 규정 고찰 본문

지방세쟁점사례

인허가의제 규정 고찰

장박사 취미생활 2024. 2. 12. 21:00

인허가 의제 규정 고찰

 

1. 인허가 의제규정의 의미

 

1) 인허가 의제는 하나의 인허가를 받으면 법률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와 관련된 여러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하는 제도이다

 

여러 법률에 규정된 인허가를 받은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음

 

2021.3.23. 제정된 행정기본법에서는 116개 법률에 흩어져 있는 인허가 의제 제도의 공통적 사항에 대한 일반적 규정을 명문화 하였음.

 

행정기본법에서는 인허가 의제를 받으려면 주된 인허가를 신청할 때 관련 인허가에 필요한 서류를 함께 제출하여야 하고(24조 제2), 주된 인허가 행정청은 주된 인허가를 하기 전에 관련 인허가에 관하여 미리 관련 인허가 행정청과 협의하여야 함(24조 제3)

 

관련 인허가 행정청은 협의를 요청받으면 그 요청을 받은 날로부터 20일이내에 의견을 제출하여야 하고, 20일 이내에 협의 여부에 고나하여 의견을 제출하지 아니하면 협의 한 것으로 보고 있음(24조 제4), 특히 협의를 요청받은 관련 인허가 행정청은 해당 법령을 위반하여 협의에 응해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함(24조 제5)

 

이러한 절차를 거쳐 협의가 된 사항에 대해서는 주된 인허가를 받았을 때 관련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함.(25조 제1)

 

2)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인허가는 관련 법률에 따라 실체적 요건을 충족해야 함.

 

인허가 의제규정에 의하면 주된 인허가를 받으면 그와 관련된 여러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보게 됨. 이때 의제된 인허가가 관련 법률에 따라 실체적 요건을 충족하여야 하는 지 논란이 있음.

 

대법원은 주된 인허가의 실체적 요건뿐만 아니라 관련 인허가의 실체적 요건을 충족해야 인허가 의제규정이 적용된다는 입장임.

 

· 건축법에 따라 건축허가를 받으면 국토계획법 등에서 정한 허가 등을 받거나 신고한 것으로 본다는 의제규정 관련하여인허가 의제사항과 관련하여 건축허가 또는 건축신고의 고나할 행정청으로 그 창구를 단일화 하고 절차를 간소화하며 비용과 시간을 절감함으로써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이다. 건축신고를 수리하는 행정청으로 하여금 인허가 의제사항 관련 법률에 규정된 요건에 관하여도 심사하도록 한 것이다라고 판시함.

 

·또한 인허가 의제의 취지가 의제된 인허가 사항에 고나한 개볍법령상 절차나 요건 심사를 배제하는데 있다고 볼 것은 아니다라고 판시함.

 

인허가 의제규정은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고 관련 규정의 인허가 심사를 배제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가 아니므로 실질적인 절차를 거쳐야 주된 인허가로 인하여 관련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된다고 볼수 있음.

 

3) 대법원은 인허가 의제규정으로 인하여 다른 법률의 모든 규정들까지 적용되는 것에 대해서는 경계를 하고 있음.

 

대법원은 여러 차례주된 인허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어떠한 법률에서 주된 인허가가 있으면 다른법률에 의한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한다는 규정을 둔 경우에는 주된 인허가가 있으면 다른 법률에 의한 인허가가 있는 것으로 보는 데 그치는 것이고, 그에서 더 나아가 다른 법률에 의하여 인허가를 받았음을 전제로 한 다른 법률의 모든 규정들 까지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라는 입장을 밝힘.

 

·구 건축법 제8조 제4항에 따라 건축허가를 받은 경우 구 도시계획법 제25조 규정에 의한 도시계획사업 실시계획의 인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는 인가의제 규정만 두고 있을 뿐 구건축법 자체에서 새로 설치한 공공시설의 귀속에 관한 구 도시계획법 제83조 제2항을 준용한다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므로 구 건축법 제8조 제4항에 따른 건축허가를 받아 새로이 공공시설을 설치한 경우 그 공공시설의 귀속에 관하여는 구 도시계획법 제83조 제2항이 적용도지 않는다고 봄이 상당하다고 판시함

 

· 또한 구 국민임대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법상 단지조성사업 실시계획의 승인을 받으면 그와 같은 인가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의제함에 그치는 것이지 더 나아가 그와 같은 인가나 승인을 받았음을 전제로 하는 도시개발법과 주택법의 모든 규정들까지 적용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시함.

 

인허가 의제규정으로 인하여 다른 법률의 모든 규정들까지 적용된다고 보게 된다면 해당 인허가 의제규정에서 의도한 것과는 다른 효과까지 발생할 수 있도, 사안에 따라서는 국민들에게 가혹하거나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인허가 의제규정의 효력범위를 제한 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사료됨.

1. 인허가 의제규정 긍정적인 해석사례

 

1) 지방세정팀-560 2008.2.11. 국민임대주택건설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의하여 실시계획 승인을 받은 경우라면 도시개발사업에 공여하는 토지라고 한 사례

 

민임대주택건설 등에 관한특별조치법 제12조 제1항 제11호에서 법 제11조 규정에 의하여 실시계획승인이 있는 때에는 도시개발법 제11조의 규정에 의한 사업시행자의 지정 및 동법 제17조 규정에 의한 실시계획인가가 있는 것으로 의제하고 있으므로 당해 토지가 국민임대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1조 규정에 의하여 실시계획승인을 받은 경우라면 지방세법 시행령 제132조 제4항 제24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도시개발사업에 공여하는 토지라 할 것이며, 도시개발사업의 시행자가 그 도시개발사업에 공여하는 주택건설용 토지의 범위는 그 사업방식 또는 소유 여부에 따라 판단할 것이 아니라 당해 도시개발사업에 공여하고 있는 모든 주택건설용 토지로 보는 것이 타당함.

 

현 지방세법시행령 제102조 제7항 제4/ 현 공공주택특별법 제18조 제1항 제14, 17

 

 

2) 지방세운영과-3885, 2011.08.17. /대덕연구개발특구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연구개발특구에 대해 산업단지 등에 대한 지방세 감면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것임

 

(질의1)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특별법"이하 함)2조 제1호에 따른 연구개발특구에 대해 지방세특례제한법 제78조의 산업단지 등에 대한 지방세 감면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질의2) 지방세 감면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면, 위 특별법 제46조에 의거 설립된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가 고유목적 사업을 위하여 취득하는 부동산이 감면대상인지 여부

 

(회신)

(질의 1) 특별법 제3조에서 이 법 가운데 특구에 대하여 규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특례를 정하는 제3장 내지 제8장의 규정은 다른 법령에 우선하여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한편, 같은 법 제7장 제43(산업단지에 관한 특례)에서 특구지역은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6조의 규정에 따른 국가산업단지로 본다고 규정한 바, 특별법 제2조 제1호의 연구개발특구의 경우 지방세특례제한법 제78조의 산업단지로 의제하여 산업단지에 대한 지방세 감면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고 할 것임.

(질의 2) 특별법 제29조 제1항 본문 및 같은항 제32호에서 특구개발사업의 시행자가 같은법 제27조 제1항에 따라 실시계획의 승인을 받은 경우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16조에 따른 산업단지개발사업시행자의 지정, 같은 법 제17조에 따른 국가산업단지개발실시계획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특별법 제46. . 의거 설립된 당해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가 같은 법 제26조에 따른 특구개발사업의 시행자로 지정된 경우라면, 위 지방세특례제한법 제78조의 산업단지개발사업 시행자로 의제할 수 있는 바, 당해 연구개발특구의 개발ㆍ조성 등을 위하여 취득하는 부동산에 대해 지방세 감면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고 사료되지만, 이에 해당 여부는 과세권자가 시행자로 지정 등 관련 규정을 면밀히 검토하여 결정할 사항임

 

3) 행정안전부 부동산세제과-241 (2024,1,15) 경제자유구역청 내 물류창고용 토지의 재산세 과세대상 구분 회신

 

(질의요지)

경제자유구역법 제4조에 따른 경제자유구역 안의 토지로서 물품을 보관하는 물류창고로 등록된 토지가 지방세법 제106조 제1항 제2호 나목 및 지방세법시행령 제101조 제3항 제3호에 따른 별도합산과세대상 토지에 해당하는 지의 여부

 

( 회신내용)

1) 지방세법 제106조 제1항 제2호 나목 및 지방세법 시행령 제101조 제3항 제7호에 따르면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2조에 따른 물류단지 안의 토지로서 같은법 제27호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류단지시설용 토지 및 유통산업발전법 제2조 제16호에 따른 공동집배송센터로서 행정안전부장관이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협의하여 정하는 토지의 경우 별도합산과세대상토지로 규정하고 있음.

2) 또한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물류시설법 이라함.) 2조 제7호에 따르면 일반물류단지시설이란 화물의 운송집화하역분류포장가공조립통관보관판매정보처리 등을 위하여 일반물류단지 안에 설치되는 시설로서 물류터미널 및 창고, 논수산물종합유통센터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조 제52에 따르면 물류창고란 화물의 저장관리, 집화배송 및 수급조정 등을 위한 보관시설보관장소 또는 이와 관련된 하역분류포장상표부착 등에 필요한 기능을 갖춘 시설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음.

3) 아울러 같은법 제21조의2에 따르면 전체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제곱미터이상인 보관시설 또는 전체면적의 합계가 2500제곱미터 이상인 보관장소에 해당하는 물류창고를 소유 또는 임차하여 물루창고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물류창고업을 등록하여야 한다

4) 또한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이하 경제자유구역법 이라함) 7조의2에서는 경제자유구역의 지정의 효과를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조 제5호에서는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22조에 따른 물류단지의 지정을 규정하고 있음.

5) 본 사안에서 해당 토지의 경우 경제자유구역법 제4조에 따른 경제자유구역 안의 토지로서 사업(판매)용 자산인 켄터이너를 보관관리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토지에 대하여 지방세법 제106조 제1항 제2호 나목 및 지방세법 시행령 제101조 제3항 제7호에 따른 별도합산대상 토지에 해당하는 지 여부에 대한 질의인바.

6) 해당 토지에 대하여 물류시설법 제21조의2에 따른 물류창고업 등록사실이 제출서류로 증빙되는 점, 지목은 창고용지로서 사업(판매)용 자산인 컨테이너를 보관관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현황이 확인되며, 이는 보관장소로서 물류창고에 해당하는 점, 경제자유구역법 제7조의2 5호에 따라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또는 변경이 있는 경우 물류시설법 제22조에 따른 물류단지의 지정이 있는 것으로 규정하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지방세법 제106조 제1항 제2호 나목 및 지방세법 시행령 제101조 제3항 제7호에 따른 별도합산과세대상 토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료됨.

 

4) 조심20210864(20230313) 재산세경정 /산업단지개발사업의 이 건 사업시행자가 도시개발사업 시행자로 의제되므로 쟁점토지는 재산세 분리과세대상이라는 청구주장의 당부

 

(결정요지)

인허가와 관련하여 이 건 산업단지 조성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고, 달리 동 사업을 불법사업으로 볼 만한 아무런 사정도 확인되지 않는 점 등에 비추어, 적어도 재산세 분리과세대상인지 여부에 관한 세법의 해석에 관한 이 건에 있어서는, 쟁점의제규정에 따라, 쟁점토지가 도시개발 사업시행자로 의제된 산업단지조성 사업자(위탁자)가 부동산신탁사인 청구법인에게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제공한 토지에 해당함을 전제로, 지방세법 시행령102조 제7항 제4호를 적용하여 재산세 분리과세대상으로 구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임.

 

2. 인허가 의제규정 부정적인 해석사례

 

1) 대법원 2023. 9. 14. 선고 202140027 판결 /집단에너지사업법에 의하여 전기사업법에 따른 발전사업의 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된 집단에너지사업자가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토지 규정에서 정한 전기사업법에 따른 전기사업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이다

 

. 구 지방세법(2019. 12. 3. 법률 제166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106조 제1항 제3()목과 그 위임에 따른 구 지방세법 시행령(2020. 6. 2. 대통령령 제3072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102조 제6항 제5(이하 이 사건 규정이라 한다)전기사업법에 따른 전기사업자가 전원개발촉진법 제5조 제1항에 따른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에 따라 취득한 토지 중 발전시설 또는 송전ㆍ변전시설에 직접 사용하고 있는 토지를 재산세 분리과세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편 집단에너지사업법 제2조 제1호는 집단에너지란 2개 이상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공급되는 열 또는 열과 전기를 말한다.’라고, 48조는 전기사업법과의 관계라는 표제 아래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른 전기의 공급에 관하여 사업자가 사업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전기사업법에 따른 발전사업의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라고 규정하였다(이하 이 사건 의제규정이라 한다).

 

. 원심은 판시와 같이 OO에너지와 ◊◊에너지가 이 사건 의제규정에 따라 전기사업법 제7조 제1항에 따른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되고, 전기사업법 제2조 제4호는 전기사업법 제7조 제1항에 따른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자를 발전사업자로 정의하였으며, 전기사업법 제2조 제2호는 발전사업자전기사업자중 하나로 규정하였다는 이유로, OO에너지와 ◊◊에너지는 이 사건 규정의 전기사업자에 해당하고, 이 사건 대상토지는 재산세 분리과세대상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 그러나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수긍할 수 없다.

 

1) 이 사건 의제규정에 따라 열과 전기를 공급하는 집단에너지사업의 허가가 있으면 전기사업법과의 관계에서 전기의 공급에 관하여 전기사업법에 따른 발전사업의 허가를 받은 것으로 보는 데 그칠 뿐, 더 나아가 전기사업법에 따라 발전사업의 허가를 받았음을 전제로 하는 지방세법의 모든 규정까지 당연히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 사건 의제규정에 따라 발전사업 허가가 의제되는 경우도 이 사건 규정의 규율대상에 포함되는지는 결국 이 사건 규정을 포함한 지방세법령의 조문구조 및 체계, 문언 등에 따른 법령해석 문제로 볼 수 있다. 그런데 구 지방세법 시행령이 이 사건 규정에서 전기사업법상 전기사업자가 직접 사용하고 있는 일정한 토지를 재산세 분리과세대상으로 규정하는 한편, 이와 별도로 집단에너지사업에 사용되는 토지 가운데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라 설립된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열생산설비에 직접 사용하고 있는 토지’(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02조 제6항 제7)산업단지 등에서의 집단에너지공급시설용 토지’[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02조 제8항 제4()]를 재산세 분리과세대상으로 규정하는 등 분리과세대상 토지의 범위에 관하여 집단에너지사업을 전기사업과 구분하여 규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밖에 구 지방세법 시행령의 조문구조 및 체계, 문언 등에 비추어 보면, 집단에너지사업자인 OO에너지와 ◊◊에너지가 이 사건 규정의 전기사업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2) 토지에 대한 재산세 분리과세제도는 정책적 고려에 따라 중과세 또는 경과세의 필요가 있는 토지에 대하여 예외적으로 별도의 기준에 따라 분리과세함으로써 종합합산과세에서 오는 불합리를 보완하고자 하는 것으로서(대법원 2013. 7. 26. 선고 201119963 판결 참조), 그 대상을 정한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02조 제6항 각 호는 예시적 규정이 아니라 한정적 규정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 사건 규정의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토지는 원칙적으로 전기사업법의 규율을 받는 전기사업에 제공되는 발전시설용 토지 등으로 제한된다고 봄이 이 사건 규정의 취지나 성격에 부합한다.

 

3)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라 규율되는 집단에너지사업과 전기사업법에 따라 규율되는 전기사업은 공급대상 에너지의 종류, 사업의 허가기준이나 절차, 경제성 및 정책적 필요성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토지를 정함에 있어서 집단에너지사업에 사용되는 토지와 전기사업에 사용되는 토지를 달리 취급하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볼 수도 없다.

 

4) 2021. 12. 31. 대통령령 제32293호로 개정된 지방세법 시행령은 제102조 제6항 제72호를 신설하여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른 사업자 중 한국지역난방공사를 제외한 사업자가 직접 사용하기 위하여 소유하고 있는 공급시설용 토지로서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재산세 납부의무가 성립하는 토지를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토지로 추가하였고, 이 사건 대상토지가 위 시행령 규정이 적용되는 토지임은 명백하다. 그런데 원심과 같이 이 사건 대상토지에 이 사건 규정이 적용된다고 보면, 이 사건 대상토지는 이 사건 규정에 따라 기간의 제한 없이 재산세 분리과세대상이 되므로, 재산세 분리과세대상이 되는 기간을 제한한 위 개정 시행령 규정의 내용 및 개정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

 

. 그런데도 원심은 이 사건 대상토지가 이 사건 규정에 따른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토지임을 전제로 이 사건 처분 중 판시 정당세액을 초과하는 부분이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이 사건 규정에 따른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토지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대상 판결의 의의)

 

대상 판결은 주된 인ㆍ허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어떠한 법률에서 주된 인ㆍ허가가 있으면 다른 법률에 의한 인ㆍ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한다는 규정을 둔 경우, 주된 인ㆍ허가가 있으면 다른 법률에 의한 인ㆍ허가가 있는 것으로 보는 데 그치는 것이고, 거기에서 더 나아가 그 다른 법률에 의하여 인ㆍ허가를 받았음을 전제로 한 다른 법률의 모든 규정들까지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의제규정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었다. 대상 판결은 위 가.항에서 본 대법원 20115551 전원합의체 판결과 마찬가지로 다른 법률에 의한 인ㆍ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되는 경우까지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토지로 볼 수는 없다고 하였다.

 

대상 판결은 이러한 법리와 함께 재산세 분리과세 대상을 규정한 지방세법 시행령 규정은 예시적 규정이 아니라 열거적·한정적 규정이므로, 집단에너지사업법상 전기의 공급에 관한 사업의 허가를 받은 경우 전기사업법에 따른 발전사업의 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된다고 하더라도 집단에너지사업자를 전기사업법에 따른 전기사업자로 볼 수는 없고, 따라서 집단에너지사업자 소유의 열병합발전시설 부지는 분리과세대상 토지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조세법규엄격해석의 원칙에 따른 결론으로 보인다. 다만, 입법론으로는 개발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별표 1]의 비고란에서와 같이 개별 법령의 의제규정에 따라 인ㆍ허가가 있는 것으로 의제되는 경우 부과대상 사업으로 본다거나 그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는 명문의 규정을 두는 것이 불필요한 분쟁을 줄이는 한 방법이다. 조세법률이나 부담금 관련 법률의 정책적인 목적에 따라 의제의 경우에도 그 대상으로 하거나 제외할 수 있을 것이다.

 

 

2) 지방세법에서 다른 법률에 따른 의제의 효과 관련 법리

 

대법원 2008. 6. 26. 선고 20062626 판결은 구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 제5조 제1항 단서, 같은 법 시행령 제13조 제2호에 의하여 주무장관의 승인을 얻지 않고 취득한 변전소 부지가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94조의15 4항 제5호에 정한 분리과세대상 토지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에서, ‘구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2003. 12. 30. 법률 제7016호로 법률의 제명이 전원개발촉진법으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특례법이라 한다) 5조 제1항은 전원개발사업자는 전원개발사업의 실시계획을 작성하여 통상산업부장관(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은 수차례 개정되었으나 제5조 제1항은 주무장관의 명칭이 바뀌었을 뿐 그 실질적인 내용은 변경되지 않았다)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다만, 대통령령이 정하는 전원개발사업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규정하고, 이에 기하여 구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1997. 5. 1. 대통령령 제153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특례법 시행령이라 한다) 13조는 주무장관의 승인을 얻지 않아도 되는 전원개발사업으로 제1호에서 기존 전원설비구역 안에서 시행하는 전원개발사업, 2호에서 법 제6조 제1항 각 호의 규정에 의한 인ㆍ허가 등을 요하지 아니하는 전원개발사업을 각 들고 있다. 특례법 시행령 제13조 제2호는 법 제6조 제1항 각 호의 규정에 의한 인ㆍ허가 등을 요하지 아니하는 전원개발사업이라고만 규정하고 있을 뿐, 당초부터 특례법 제6조 제1항 각 호의 규정에 의한 인ㆍ허가 등을 요하지 아니하는 전원개발사업으로 한정하고 있지 아니한 점에 비추어 보면, 위 규정에서 말하는 전원개발사업이라 함은 당초부터 특례법 제6조 제1항 각 호의 규정에 의한 모든 인ㆍ허가 등을 요하지 아니하는 전원개발사업뿐만 아니라, 특례법 제6조 제1항 각 호의 규정에 의한 인ㆍ허가 중 당해 사업과 관련된 특정 인ㆍ허가를 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미 다른 법률에 의하여 그 특정 인ㆍ허가를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 전원개발사업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구 지방세법(2005. 1. 5. 법률 제73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234조의15 2항은 종합토지세의 종합합산과세표준에 관하여 규정하면서, 그 과세표준에서 제외되는 것의 하나로 제6호에서 종합토지세를 분리과세하여야 할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의 가액을 규정하고 있고, 이에 기하여 구 지방세법 시행령(2003. 12. 30. 대통령령 제181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194조의15 4항 제5호는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사업자가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에 의하여 산업자원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취득한 토지 중 발전시설 또는 송전ㆍ변전시설에 직접 사용하고 있는 토지(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의 시행 전에 취득한 토지로서 담장ㆍ철조망 등으로 구획된 경계구역 안의 발전시설 또는 송전ㆍ변전시설에 직접 사용하고 있는 토지를 포함한다)’를 분리과세대상 토지로 규정하고 있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공법인이 공익적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하거나 소유하고 있는 토지에 저율의 분리과세를 하도록 한 분리과세제도의 취지,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94조의15 4항 제5호는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의 시행 전에 취득한 토지로서 담장ㆍ철조망 등으로 구획된 경계구역 안의 발전시설 또는 송전ㆍ변전시설에 직접 사용하고 있는 토지도 분리과세대상 토지로 규정하고 있는 점, 전원개발사업자로 하여금 전원개발사업 실시에 관한 각종 인ㆍ허가 등의 절차를 간소화하여 전원개발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정된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의 입법 취지 등에 비추어 볼 때, 과세관청으로서는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94조의15 4항 제5호에 의한 분리과세를 실시함에 있어 공법인인 원고가 일반 수요자에 대한 전력공급을 위하여 특례법 제5조 제1항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주무장관의 승인을 얻지 않고 취득한 이 사건 토지를 그 승인을 얻어 취득한 토지와 달리 취급할 이유가 없으므로 이 사건 토지는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94조의15 4항 제5호 소정의 분리과세대상 토지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는바, 이러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다.’라고 판시하였다.

 

한편, 대법원 2015. 4. 16. 선고 20115551 전원합의체 판결은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사업시행인가를 받았지만 구 주택법상 사업계획승인 대상인 주택건설사업이 아니어서 관계 서류의 제출 및 관계 행정기관장과의 협의를 거치지 않은 경우, 주택건설사업에 공여되는 토지가 위 규정에서 정한 주택법에 의한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토지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에서,

 

. 구 종합부동산세법(2010. 3. 31. 법률 제1022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11조는 토지에 대한 종합부동산세는 국내에 소재하는 토지에 대하여 지방세법 제182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의한 종합합산과세대상과 동법 제182조 제1항 제2호의 규정에 의한 별도합산과세대상으로 구분하여 과세한다.”고 규정함으로써 분리과세대상 토지를 종합부동산세의 과세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한편 구 지방세법(2008. 2. 29. 법률 제88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182조 제1항 제3()목의 위임에 따른 구 지방세법 시행령(2007. 9. 28. 대통령령 제202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132조 제4항 제8호는 주택법에 의하여 주택건설사업자 등록을 한 주택건설사업자(주택법 제32조의 규정에 의한 주택조합 및 고용자인 사업주체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조 내지 제9조의 규정에 의한 사업시행자를 포함한다)가 주택을 건설하기 위하여 동법에 의한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토지로서 주택건설사업에 공여되고 있는 토지를 분리과세대상 토지의 하나로 들고 있다. 그런데 구 주택법(2007. 4. 20. 법률 제838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주택법이라고 한다) 16조 제1항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호수 이상의 주택건설사업을 시행하고자 하는 자는 사업계획승인신청서에 주택과 부대시설 및 복리시설의 배치도, 대지조성공사설계도서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서류를 첨부하여 시ㆍ도지사에게 제출하고 그 사업계획승인을 얻어야 한다. 다만 주택 외의 시설과 주택을 동일건축물로 건축하는 경우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하면서, 구 주택법 시행령(2009. 4. 21. 대통령령 제2144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주택법 시행령이라고 한다) 15조 제1항에서 주택법 제16조 제1항 본문에 따라 원칙적으로 사업계획승인 대상이 되는 경우를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20,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20세대 이상의 주택건설사업으로 규정하고, 15조 제2항 등에서 주택법 제16조 제1항 단서에 따라 예외적으로 사업계획승인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를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도시지역 중 상업지역(유통상업지역은 제외한다) 또는 준주거지역 안에서 300세대 미만의 주택과 주택 외의 시설을 동일건축물로 건축하는 경우로서 공동주택 1세대당 주택의 규모가 297이하이고 당해 건축물의 연면적에 대한 주택 연면적 합계의 비율이 90% 미만인 경우로 규정하고 있다.

 

.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32조 제4항 제8호의 괄호 안에 있는 규정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조 내지 제9조에 의한 사업시행자를 주택법에 의하여 주택건설사업자 등록을 한 주택건설사업자에 포함하도록 정하고 있을 뿐이고, 주택법에서 정한 사업계획의 승인과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서 정한 사업시행인가는 그 승인ㆍ인가권자와 법적 성격 및 목적이 다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면,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32조 제4항 제8호가 분리과세대상 토지의 한 요건으로 정한 동법에 의한 사업계획의 승인주택법에 의한 사업계획의 승인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한다. 주택법 제16조 제1항 본문에 따른 사업계획승인 대상인 주택건설사업과 거기에 해당하지 않는 주택건설사업은 그 규모나 대지의 용도지역 등에 차이가 있어 국민의 주거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주택법 제16조 제1항 단서는 상업지역 등에서 일정한 규모 이하의 주택과 주택 외의 시설을 동일건축물로 건축하는 주택건설사업만을 사업계획승인 대상에서 제외한 것으로 보이는 점, 주택법상 사업계획승인 대상인 주택건설사업의 경우에는 부대시설 및 복리시설의 설치나 주택건설기준의 준수 등과 같은 각종 규율이 뒤따르나, 주택법상 사업계획승인 대상에서 제외되는 주택건설사업의 경우에는 그러한 규율을 받지 않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32조 제4항 제8호는 주택건설사업에 공여되고 있는 토지 중 주택건설사업자가 국민 다수의 주거생활에 필요한 주택의 건설과 공급을 위하여 투기적 목적 없이 일시적으로 보유하는 토지로서 공익성이 클 뿐만 아니라 용도지역에 따라 일정한 규모 이상에 이른 경우에 주택법상 사업계획승인 대상으로 삼아 엄격한 규율을 받도록 한 정책적 결단을 반영하여 그와 같은 규모 이상의 사업이 시행되는 토지에 대하여만 분리과세의 혜택을 부여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주택법상 사업계획승인 대상이 아닌 토지는 그것이 주택건설사업에 공여되고 있는 토지라고 하더라도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32조 제4항 제8호에서 정한 분리과세대상 토지에 포함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6. 9. 27. 법률 제801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도시정비법이라고 한다) 32조 제1항은 사업시행자가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인ㆍ허가 등이 있은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면서, 1호에서 주택법 제16조의 규정에 의한 사업계획의 승인을 들고 있다. 그런데 도시정비법은 사업시행자가 도시정비법 제32조 제1항 각 호에 규정된 인ㆍ허가 등의 의제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업시행인가를 신청하는 때에 해당 법률이 정하는 관계 서류를 함께 제출하도록 함과 아울러(32조 제3), 사업시행인가권자인 시장ㆍ군수로 하여금 미리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32조 제4). 따라서 도시정비법에 의한 사업시행인가를 받았다고 하더라도 주택법상 사업계획승인 대상인 주택건설사업이 아니어서 관계 서류의 제출 및 관계 행정기관장과의 협의를 거치지 않은 경우에는 주택법상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것으로 의제되지 않으므로, 그러한 주택건설사업에 공여되는 토지는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32조 제4항 제8호가 분리과세대상 토지의 한 요건으로 정한 주택법에 의한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토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라고 판시하였다.

 

위 대법원 20062626 판결은 종합토지세 분리과세대상 토지인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194조의15 4항 제5호의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사업자가 전원개발에 관한 특례법에 의하여 산업자원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취득한 토지에는 특례법상 주무장관의 승인을 얻어 취득한 토지와 특례법 제5조 제1항 단서(주무장관의 승인이 면제된 전원개발사업)의 규정에 의하여 주무장관의 승인을 얻지 않고 취득한 토지도 포함된다고 하였다.

 

이와 달리 위 대법원 20115551 전원합의체 판결은 도시정비법에 의한 사업시행인가를 받아 주택법상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것으로 의제받는다고 하더라도 주택법상 사업계획승인 대상인 주택건설사업이 아니어서 관계 서류의 제출 및 관계 행정기관장과의 협의를 거치지 않은 경우에는 주택법상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것으로 의제되지 않으므로, 그러한 주택건설사업에 공여되는 토지는 재산세 분리과세대상 토지의 한 요건으로 정한 주택법에 의한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토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고 하였다.

 

3) 각종 부담금과 다른 법률에 따른 의제의 효과 관련 법리

 

(1) 개발부담금 관련 사례

 

대법원 2020. 9. 3. 선고 201947728 판결은 구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시행되는 혁신도시개발사업이 구 개발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 제10, 구 개발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별표 1] 10호에서 정한 개발부담금 부과대상사업인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에서, ‘. 구 개발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2014. 1. 14. 법률 제1224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개발이익환수법이라고 한다) 5조 제1항은 개발부담금의 부과대상인 개발사업은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 등으로 한다.”라고 규정하면서, 주택단지조성사업을 포함하는 택지개발사업(1), 산업단지개발사업(2), 관광단지조성사업(3), 공장을 건설하는 경우를 제외한 도시환경정비사업(4), 물류시설용지조성사업(5), 온천개발사업(6), 여객자동차터미널사업(7), 골프장 건설사업(8) 등을 열거한 후, 일반조항으로서 1호부터 제8호까지의 사업과 유사한 사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 등’(10)을 개발부담금 부과대상사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구 개발이익환수법 제5조 제3항은, 1항에 따른 개발사업의 범위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법률의 위임에 따라 구 개발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 시행령(2014. 7. 14. 대통령령 제2545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개발이익환수법 시행령이라고 한다) 4[별표 1] 10호는 그 밖의 법률에 근거하여 시행되는, ‘1호부터 제8호까지의 사업과 비슷한 사업으로서 사실상 또는 공부상의 지목변경이 수반되는 사업을 개발부담금 부과대상사업으로 정하고 있다. 한편 구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2007. 10. 17. 법률 제865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혁신도시법이라고 한다) 48조 제2항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공공기관의 지방이전과 혁신도시 건설을 지원하기 위하여 개발이익환수에 관한 법률 등이 정하는 바에 따라 개발부담금 등을 감면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 위와 같은 구 개발이익환수법령 규정의 문언과 체계, 구 혁신도시법 제48조 제2항의 규정 내용 등을 종합하면, 구 혁신도시법에 근거하여 시행되는 혁신도시개발사업은 구 개발이익환수법 제5조 제1항 제10, 구 개발이익환수법 시행령 제4[별표 1] 10호에서 정한 개발부담금 부과대상사업이라고 보아야 한다. 관련하여 2014. 7. 14. 대통령령 제25452호로 개정된 개발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별표 1]은 그 비고란에서 개별 법령에서 특정한 사업에 대하여 인가 등을 받으면 같은 표 제1호부터 제8호까지에서 규정한 개발사업의 인가 등을 받은 것으로 보는 경우에는 부담금 부과대상 개발사업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개발이익환수법령이 개발부담금 부과대상사업을 엄격하게 한정적으로 열거하는 방식이 아니라 앞서 본 바와 같이 일반조항을 두어 예시하는 입법형식을 채택한 결과로서 같은 표 제1호부터 제8호까지의 개발사업의 인허가가 의제되는 경우에는 일반조항을 매개로 하여 개발부담금 부과대상사업에 해당한다는 점을 주의적으로 확인하는 규정이라고 볼 수 있다.’라고 판시하였다.

 

(2) 학교용지부담금 관련 사례

 

() 대법원 2016. 12. 15. 선고 201440531 판결은 구 보금자리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주택건설사업이 구 학교용지 확보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 제2호에 정한 학교용지부담금 부과대상 개발사업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에서, ‘. ○○초등학교ㆍ중학교 및 고등학교용 학교용지의 조성ㆍ개발ㆍ공급과 관련 경비의 부담 등에 관한 특례를 규정하는 법률인 구 학교용지 확보 등에 관한 특례법(2015. 1. 20. 법률 제1300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학교용지법이라고 한다)은 제2조 제2호에서 “‘개발사업이란 건축법, 도시개발법,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주택법, 택지개발촉진법 및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행하는 사업 중 100가구 규모 이상의 주택건설용 토지를 조성ㆍ개발하거나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3호에서 “‘학교용지부담금이란 개발사업에 대하여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가 학교용지를 확보하거나, 학교용지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가까운 곳에 있는 학교를 증축하기 위하여 개발사업을 시행하는 자에게 징수하는 경비를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구 보금자리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법(2013. 3. 23. 법률 제1169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보금자리주택건설법이라고 한다) 35조 제4항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하여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때에는 건축법 제11조에 따른 건축허가(1)’, ‘도시개발법 제3조에 따른 도시개발구역의 지정, 같은 법 제17조에 따른 실시계획의 인가(9)’등을 받은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다.

 

. 침익적 행정처분의 근거가 되는 행정법규는 엄격하게 해석ㆍ적용하여야 하고, 행정처분의 상대방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여서는 아니 되며, 그 행정법규의 입법 취지와 목적 등을 고려한 목적론적 해석이 허용되는 경우에도 그 문언의 통상적인 의미를 벗어나지 아니하여야 한다. 그리고 주된 인ㆍ허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어떠한 법률에서 주된 인ㆍ허가가 있으면 다른 법률에 의한 인ㆍ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한다는 규정을 둔 경우, 주된 인ㆍ허가가 있으면 다른 법률에 의한 인ㆍ허가가 있는 것으로 보는 데 그치는 것이고, 거기에서 더 나아가 다른 법률에 의하여 인ㆍ허가를 받았음을 전제로 한 다른 법률의 모든 규정들까지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419715 판결 참조).

 

. 학교용지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에 관한 학교용지법 제2조 제2호는 그 부과대상 사업의 근거 법률로 구 보금자리주택건설법을 들고 있지 아니하다. 그리고 구 보금자리주택건설법 제35조 제4항이 보금자리주택에 관한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때에는 건축법에 의한 건축허가(1), 도시개발법에 의한 실시계획의 인가(9)를 받은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이는 구 보금자리주택건설법상 주택건설에 관한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으면 그와 같은 허가나 인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함에 그치는 것이지 더 나아가 그와 같은 허가나 인가를 받았음을 전제로 하는 건축법과 도시개발법의 모든 규정들까지 적용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구 보금자리주택건설법에 따른 주택건설사업은 학교용지법 제2조 제2호에 정한 학교용지부담금 부과대상 개발사업에 포함되지 아니한다고 보아야 하고, 이와 달리 학교용지부담금 부과대상 개발사업에 포함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학교용지부담금 부과에 관한 규정을 그 상대방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는 것이어서 허용되지 아니한다.’고 판시하였다.

 

() 또한 대법원 2016. 11. 24. 선고 201447686 판결은 구 국민임대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른 단지조성사업이 구 학교용지 확보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 제2호에 정한 학교용지부담금 부과대상 개발사업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에서, ‘. ○○초등학교ㆍ중학교 및 고등학교용 학교용지의 조성ㆍ개발ㆍ공급과 관련 경비의 부담 등에 관한 특례를 규정하는 법률인 구학교용지 확보 등에 관한 특례법(2015. 1. 20. 법률 제1300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학교용지법이라 한다)은 제2조 제2호에서 “‘개발사업이란건축법,도시개발법,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주택법,택지개발촉진법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행하는 사업 중 100가구 규모 이상의 주택건설용 토지를 조성ㆍ개발하거나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3호에서 “‘학교용지부담금이란 개발사업에 대하여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가 학교용지를 확보하거나, 학교용지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 가까운 곳에 있는 학교를 증축하기 위하여 개발사업을 시행하는 자에게 징수하는 경비를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구국민임대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2009. 3. 20. 법률 제9511보금자리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법으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공공주택건설법이라 한다) 12조 제1항은 제11조의 규정에 의하여 실시계획의 승인이 있는 때에는 도시개발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한 도시개발구역의 지정, 동법 제17조의 규정에 의한 실시계획의 작성ㆍ인가’(11), ‘주택법 제16조의 규정에 의한 사업계획의 승인’(20) 등을 받은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다.

 

. 침익적 행정처분의 근거가 되는 행정법규는 엄격하게 해석ㆍ적용하여야 하고, 행정처분의 상대방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여서는 아니 되며, 그 행정법규의 입법 취지와 목적 등을 고려한 목적론적 해석이 허용되는 경우에도 그 문언의 통상적인 의미를 벗어나지 아니하여야 한다. 그리고 주된 인허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어떤 법률에서 주된 인허가가 있으면 다른 법률에 의한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한다는 규정을 둔 경우, 주된 인허가가 있으면 다른 법률에 의한 인허가가 있는 것으로 보는 데 그치는 것이고, 거기에서 더 나아가 다른 법률에 의하여 인허가를 받았음을 전제로 하는 그 다른 법률의 모든 규정들까지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419715 판결 참조).

 

. 학교용지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에 관한 학교용지법 제2조 제2호는 그 부과대상 사업의 근거 법률로 공공주택건설법을 들고 있지 아니하다. 그리고 공공주택건설법 제12조 제1항이 단지조성사업 실시계획의 승인이 있는 때에는 도시개발법에 의한 실시계획의 작성ㆍ인가(11), 주택법에 의한 사업계획의 승인(20)을 받은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이는 공공주택건설법상 단지조성사업 실시계획의 승인을 받으면 그와 같은 인가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의제함에 그치는 것이지 더 나아가 그와 같은 인가나 승인을 받았음을 전제로 하는 도시개발법과 주택법의 모든 규정들까지 적용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공공주택건설법에 따른 단지조성사업은 학교용지법 제2조 제2호에 정한 학교용지부담금 부과대상 개발사업에 포함되지 아니한다고 보아야 하고, 이와 달리 학교용지부담금 부과대상개발사업에 포함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학교용지부담금 부과에 관한 규정을 그 상대방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는 것이어서 허용되지 아니한다.’고 판시하였다.

 

(3) 광역교통시설부담금 관련 사례

 

() 대법원 2018. 11. 9. 선고 201651610 판결은 구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11조의2 1항 제1호의 규정 취지 및 보금자리주택지구에서 시행된 주택건설사업이 구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11조의2 1항 제1호에 따른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면제 대상 사업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에서, ‘구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2015. 8. 28. 법률 제134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광역교통법이라 한다) 11조 제1항은 광역교통시행계획이 수립고시된대도시권에서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을 시행하는 자는 광역교통시설 등의 건설 및 개량을 위한 광역교통시설부담금을 내야 한다.”라고 규정하면서,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른 택지개발사업(1), 주택법에 따른 대지조성사업(3), 주택법에 따른 주택건설사업(4) 등을 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으로 열거하고 있다. 그런데 위 제11조 제1항은 구 보금자리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법(2014. 1. 14. 법률 제12251공공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법으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보금자리주택법이라 한다)을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의 근거 법률로 들고 있지 않다. 위 제11조 제1항 제4호는 주택법에 따른 주택건설사업에 한하여 다른 법령에 따라 사업승인이 의제되는 협의를 거친 경우도 부과대상 사업에 포함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법령에 의하면, 보금자리주택법에 따른 보금자리주택지구 조성사업은 광역교통법 제11조 제1항에서 정한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봄이 타당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침익적 행정처분의 근거가 되는 행정법규는 엄격하게 해석적용하여야 하고, 행정처분의 상대방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여서는 아니 되며, 그 행정법규의 입법 취지와 목적 등을 고려한 목적론적 해석이 허용되는 경우에도 그 문언의 통상적인 의미를 벗어나서는 아니 된다(대법원 2016. 11. 24. 선고 201447686 판결 참조). 광역교통법 제11조 제1항은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의 근거 법률로 보금자리주택법을 들고 있지 않는데도, 위 사업을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부과대상에 포함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부과에 관한 규정을 그 상대방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지나치게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주된 인허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에서 주된 인허가가 있으면 다른 법률에 의한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한다는 규정을 둔 경우, 주된 인허가가 있으면 다른 법률에 의한 인허가가 있는 것으로 보는 데 그치고, 거기에서 더 나아가 다른 법률에의하여 인허가를 받았음을 전제로 하는 그 다른 법률의 모든 규정들까지 당연히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419715 판결, 위 대법원 201447686 판결 등 참조). 보금자리주택법 제18조 제1항 제28호는 보금자리주택사업의 시행자가 보금자리주택지구계획의 승인을 받으면, 주택법에 따른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보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이는 보금자리주택법상 보금자리주택지구계획의 승인을 받으면 주택법에 따른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의제함에 그칠 뿐이지 더 나아가 주택법의 모든 규정들까지 적용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보금자리주택법 제32조 제1항이 보금자리주택지구 조성 및 조성된 토지의 공급에 관하여 위 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택지개발촉진법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위 조항만으로 보금자리주택법이 택지개발촉진법의 특별법이라거나, 보금자리주택지구 조성사업이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른 택지개발사업에 해당한다고 볼 수는 없다.’고 판시하였다.

 

() 대법원 2007. 10. 26. 선고 20079884 판결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정한 도시환경정비사업 시행인가를 받아서 건축허가가 있는 것으로 의제되는 경우도 구 대도시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15조 제2항의 규율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안에서, ‘특별법 시행령 제15조 제2항은 법 제11조 제6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이라 함은 건축법 제8조의 규정에 의한 건축허가를 받아 주택 외의 시설과 20세대 이상의 주택을 동일건축물로 건축하는 사업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특별법의 관련 규정에 비추어 볼 때 건축법 제8조의 규정에 의한 건축허가를 받아 주택 외의 시설과 20세대 이상의 주택을 동일건축물로 건축하는 사업은 대도시권 내의 교통수요 등에 영향을 미치는 측면에서 특별법 제11조 제1호 내지 제5호의 경우와 객관적으로 유사한 사업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사업시행자를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납부대상으로 규정한 특별법 시행령 제15조 제2항은 수권법률인 특별법 제11조 제6호가 정한 위임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특별법 제11조의2 1항이 제1호 내지 제5호에서 도정법에 의한 주거환경개선사업 등을 비롯한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면제대상을 구체적으로 열거하면서도 도정법에 따른 도시환경정비사업을 그 면제대상으로 규정하지 아니하였다는 점, 도정법에 따른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사업시행자가 그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경우 같은 법 제32조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법 제8조의 규정에 의한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간주되는데, 사업시행자가 위와 같은 건축허가의 의제를 받고자 하는 경우 사업시행인가를 신청하면서 건축법이 정하는 관계 서류를 함께 제출하여야 하고(도정법 제32조 제3), 이를 접수한 관할 행정관청은 미리 관계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야 하며, 이 경우 관계 행정기관의 장은 건축법에서 규정한 허가 등의 기준에 위반하여 협의에 응하여서는 아니된다는 점(같은 조 제4) 등을 종합하여 보면, 도정법 소정의 도시환경정비사업 시행인가를 받아서 건축허가가 있은 것으로 의제되는 경우 역시 특별법 시행령 제15조 제2항의 규율대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라고 판시하였다.

 

(4) 결어

 

대법원은 개발부담금과 관련한 사례에서는 위 (1)항에서 본 바와 같이 개발이익환수법령이 개발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을 엄격하게 한정적으로 열거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반조항(현행 개발이익환수법 제5조 제1항 제8)을 두어 예시하는 입법형식을 채택한 결과로서 같은 법 시행령 제4[별표 1] 1호부터 제8호까지의 개발사업의 인허가가 의제되는 경우에는 일반조항을 매개로 하여 개발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에 해당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대법원은 학교용지부담금과 관련해서는 위 (2)항에서 본 바와 같이 침익적 행정처분의 근거가 되는 행정법규는 확장해석하거나 유추해석할 수 없고 엄격하게 해석하여야 한다고 전제한 다음, 의제규정의 해석과 관련하여, 주된 인ㆍ허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어떠한 법률에서 주된 인ㆍ허가가 있으면 다른 법률에 의한 인ㆍ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한다는 규정을 둔 경우, 주된 인ㆍ허가가 있으면 다른 법률에 의한 인ㆍ허가가 있는 것으로 보는 데 그치는 것이고, 거기에서 더 나아가 다른 법률에 의하여 인ㆍ허가를 받았음을 전제로 한 다른 법률의 모든 규정들까지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기존 법리를 유지하고 있다. 대법원은 이러한 법리에 근거하여 구 보금자리주택건설법이 보금자리주택에 관한 사업계획승인시 건축법에 따른 건축허가와 도시개발법에 따른 도시개발구역의 지정, 실시계획의 인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한다고 하더라도 이는 그와 같은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의제함에 그칠 뿐이고, 이를 이유로 구 보금자리주택건설법에 따른 주택건설사업을 학교용지법에 따른 학교용지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으로 볼 수는 없다고 판시하였다. 대법원은 동일한 법리에 근거하여 공공주택건설법상 단지조성사업 실시계획의 승인시 도시개발법에 의한 실시계획의 작성·인가, 주택법에 의한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의제된다고 하더라도 공공주택건설법에 따른 단지조성사업은 학교용지법상 학교용지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에 포함되지 아니한다고 하였다.

 

대법원 201651610 판결은 광역교통시설부담금과 관련해서도 학교용지부담금 관련 사례에서와 동일한 법리에 기초하여 보금자리주택법상 보금자리주택사업의 시행자가 보금자리주택지구계획의 승인을 받으면, 주택법에 따른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의제되지만, 이는 보금자리주택법상 보금자리주택지구계획의 승인을 받으면 주택법에 따른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의제함에 그칠 뿐이지 더 나아가 주택법의 모든 규정들까지 적용된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이유로 보금자리주택법에 따른 보금자리주택지구 조성사업은 광역교통법상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다만, 과거 대법원 20079884 판결은 도정법상 도시환경정비사업 시행인가를 받아서 건축법상 건축허가가 있는 것으로 의제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광역교통시설부담금 부과대상 사업에 해당된다고 하여 위 대법원 201651610 판결과 반대의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서는 대법원이 전원합의체 판결로 관련 법리를 통일할 필요가 있다.

 

 

 

 

 

 

 

 

 

 

 

 

 

 

 

 

 

 

 

 

 

 

행정기본법 추가자료

 

행정기본법

 

24(인허가의제의 기준) 이 절에서 인허가의제란 하나의 인허가(이하 주된 인허가라 한다)를 받으면 법률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와 관련된 여러 인허가(이하 관련 인허가라 한다)를 받은 것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인허가의제를 받으려면 주된 인허가를 신청할 때 관련 인허가에 필요한 서류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불가피한 사유로 함께 제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주된 인허가 행정청이 별도로 정하는 기한까지 제출할 수 있다.

 

주된 인허가 행정청은 주된 인허가를 하기 전에 관련 인허가에 관하여 미리 관련 인허가 행정청과 협의하여야 한다.

 

관련 인허가 행정청은 제3항에 따른 협의를 요청받으면 그 요청을 받은 날부터 20일 이내(5항 단서에 따른 절차에 걸리는 기간은 제외한다)에 의견을 제출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전단에서 정한 기간(민원 처리 관련 법령에 따라 의견을 제출하여야 하는 기간을 연장한 경우에는 그 연장한 기간을 말한다) 내에 협의 여부에 관하여 의견을 제출하지 아니하면 협의가 된 것으로 본다.

 

3항에 따라 협의를 요청받은 관련 인허가 행정청은 해당 법령을 위반하여 협의에 응해서는 아니 된다. 다만, 관련 인허가에 필요한 심의, 의견 청취 등 절차에 관하여는 법률에 인허가의제 시에도 해당 절차를 거친다는 명시적인 규정이 있는 경우에만 이를 거친다.

 

25(인허가의제의 효과) 24조제3항ㆍ제4항에 따라 협의가 된 사항에 대해서는 주된 인허가를 받았을 때 관련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본다.

 

인허가의제의 효과는 주된 인허가의 해당 법률에 규정된 관련 인허가에 한정된다.

 

 

26(인허가의제의 사후관리 등) 인허가의제의 경우 관련 인허가 행정청은 관련 인허가를 직접 한 것으로 보아 관계 법령에 따른 관리ㆍ감독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주된 인허가가 있은 후 이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제24조ㆍ제25조 및 이 조 제1항을 준용한다.

 

이 절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인허가의제의 방법, 그 밖에 필요한 세부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행정기본법안 조문별 제정이유서 - 2020.7. 법제처

 

24. 인허가의제 (안 제24조부터 제26조까지)

. 제정 취지

인허가의제란 하나의 인허가를 받으면 다른 법률에 따른 여러 인허가 등을 함께 받은 것으로 보는 것으로 여러 법률에 규정된 인허가를 받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임으로써 규제를 완화하고 국민 편익을 제고하기 위해 1973년 산업기지개발촉진법에 도입된 이후에 현재 116개 법률에 규정하고 있음.

그러나 인허가의제를 규정하고 있는 개별 법률의 규정 방식ㆍ내용 등이 상이하고, 관련 인허가의 절차적 요건 준수 여부, 사후 관리ㆍ감독 여부 등에 관한 명확한 원칙ㆍ기준이 없어 국민과 일선 공무원의 혼란이 큰 바, 이에 관한 공통 절차와 집행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내용

(24) 인허가의제의 정의(1), 인허가의제 시 필요한 서류 제출(2), 관련 기관과의 사전 협의(3), 협의 기간 및 협의 간주 규정(4), 관련 인허가 행정청은 해당 법령을 위반하여 협의에 응해서는 아니 되고 관련 인허가에 필요한 심의, 의견 청취 등 절차는 법률에 인허가의제 시에도 해당 절차를 거친다는 명시적인 규정이 있는 경우에만 이를 거치도록(5) 하는 등 인허가의제의 기본적인 기준을 정함.

- 2항 단서에서 불가피한 사유행정절차법17조제5항에 따른 서류의 보완이 아니며, 선행하는 절차나 처분의 부존재 등 사실상 서류를 제출할 수 없는 등의 사유를 의미함.

- 4항에서 협의 기간을 20일로 규정하여 협의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협의 기간 도과 시 협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하여 인허가의제가 지연되지 않도록 함.

- 5항 본문은 관련 인허가도 해당 법령에 따른 실체적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는 의미임.

- 5항 단서는 관련 인허가에 필요한 절차는 원칙적으로 생략되고 법률에 인허가의제 시에도 해당 절차를 거친다는 명시적인 규정이 있는 경우에만 이를 거친다는 의미임.

* 5항 단서의 법률은 주된 인허가를 규정하는 법률과 관련 인허가를 규정하는 법률 모두를 포함함.

(25) 협의된 사항에 대해서 주된 인허가를 받았을 때 관련 인허가를 받은 것으로 보도록 하고(1), 인허가의제의 효과는 주된 인허가의 해당 법률에 규정된 관련 인허가에 한정되는 것이지 재의제되지 않음(2).

(26) 관련 인허가 행정청은 관련 인허가를 직접 행한 것으로 보아 관계 법령에 따른 관리ㆍ감독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하고(1), 주된 인허가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인허가의제 관련 기준 등이 준용되도록 하며(2), 인허가의제의 방법, 그 밖에 필요한 세부 사항은 하위법령에 위임함(3).

* 하위법령의 내용 예시: 주된 인허가 시 관련 인허가 기재 방법 등

- 1항은, 인허가의제 시 관련 인허가 행정청이 관련 인허가에 대한 관리ㆍ감독을 하도록 하여, 관련 인허가의 관리ㆍ감독 여부에 대한 실무상 혼란을 해소함.

. 입법추진과정에서 논의된 주요내용

특기할 사항 없음

. 기대효과

인허가의제 관련 집행의 기준을 체계화함으로써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 혼란 해소

관련 인허가에 필요한 절차는 원칙적으로 생략하는 등 인허가의제 절차 간소화 및 규제 완화 효과 즉시 적용

. 참고사항

관련 법령

법 률 명 조 문 비 고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57(인ㆍ허가등의 의제 등) 사업시행자는 정비사업에 대하여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인ㆍ허가등의 의제를 받으려는 경우에는 제50조제1항에 따른 사업시행계획인가를 신청하는 때에 해당 법률이 정하는 관계 서류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사업시행계획인가를 신청한 때에 시공자가 선정되어 있지 아니하여 관계 서류를 제출할 수 없거나 제6항에 따라 사업시행계획인가를 하는 경우에는 시장ㆍ군수등이 정하는 기한까지 제출할 수 있다. 서류 제출
예외 인정
주택법 19(다른 법률에 따른 인가ㆍ허가 등의 의제 등) 3항에 따라 사업계획승인권자의 협의 요청을 받은 관계 행정기관의 장은 해당 법률에서 규정한 인ㆍ허가등의 기준을 위반하여 협의에 응하여서는 아니 된다. 관련 인허가의 실체적 요건 충족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148(인ㆍ허가 등의 의제) 관계 행정기관의 장은 제2항에 따른 협의내용에 각종 위원회의 심의를 필요로 하는 사항이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후 그 결과에 따라 협의를 하여야 한다. 관련 인허가의
절차적 요건
충족 명시
행정심판법 50(위원회의 직접 처분) 위원회는 피청구인이 제49조제3항에도 불구하고 처분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당사자가 신청하면 기간을 정하여 서면으로 시정을 명하고 그 기간에 이행하지 아니하면 직접 처분을 할 수 있다. 다만, 그 처분의 성질이나 그 밖의 불가피한 사유로 위원회가 직접 처분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위원회는 제1항 본문에 따라 직접 처분을 하였을 때에는 그 사실을 해당 행정청에 통보하여야 하며, 그 통보를 받은 행정청은 위원회가 한 처분을 자기가 한 처분으로 보아 관계 법령에 따라 관리ㆍ감독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처분청 분리를 입법으로
해소

 

판례

건축법에서 인·허가의제 제도를 둔 취지는, ·허가의제사항과 관련하여 건축허가 또는 건축신고의 관할 행정청으로 그 창구를 단일화하고 절차를 간소화하며 비용과 시간을 절감함으로써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이지, ·허가의제사항 관련 법률에 따른 각각의 인·허가 요건에 관한 일체의 심사를 배제하려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 대법원 2011. 1. 20., 선고 201014954 판결

 

붙임 1
행정기본법과 개별법의 관계(예시)



현행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61(관련 인·허가등의 의제) 개발행위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할 때에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 또는 군수가 그 개발행위에 대한 다음 각 호의 인가ㆍ허가ㆍ승인ㆍ면허ㆍ협의ㆍ해제ㆍ신고 또는 심사 등(이하 "인ㆍ허가등"이라 한다)에 관하여 제3항에 따라 미리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사항에 대하여는 그 인ㆍ허가등을 받은 것으로 본다.  
1. ~ 19. (생 략)
1항에 따른 인ㆍ허가등의 의제를 받으려는 자는 개발행위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신청할 때에 해당 법률에서 정하는 관련 서류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 또는 군수는 개발행위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할 때에 그 내용에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항이 있으면 미리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야 한다.  
3항에 따라 협의 요청을 받은 관계 행정기관의 장은 요청을 받은 날부터 20일 이내에 의견을 제출하여야 하며, 그 기간 내에 의견을 제출하지 아니하면 협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국토교통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의제되는 인ㆍ허가등의 처리기준을 관계 중앙행정기관으로부터 제출받아 통합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 ↘



행정기본법


24(인허가의제의 기준)
25(인허가의제의 효과)
26(인허가의제의 사후관리 등)



개별 법률


61(관련 인·허가 등의 의제) 개발행위허가 또는 변경허가를 할 때에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ㆍ시장 또는 군수가 그 개발행위에 대한 다음 각 호의 인가ㆍ허가ㆍ승인ㆍ면허ㆍ협의ㆍ해제ㆍ신고 또는 심사 등(이하 "인ㆍ허가등"이라 한다)에 관하여 미리 관계 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사항에 대하여는 그 인ㆍ허가등을 받은 것으로 본다.
1. 19. (생 략)


그 외 필요한 특례만 규정









 

붙임 2
현행법상 인허가 의제

 

141개 조문 (116개 법령)

연번 제명 조번호 소관
1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33 문체부
57
2 간선급행버스체계의 건설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9 국토부
3 간척지의 농어업적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16 농림부
4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14 국토부
5 갯벌 및 그 주변지역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복원에 관한 법률 23 해수부
6 건축법 11 국토부
22
7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11 산자부
8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12 문화재청
9 공공주택 특별법 18 국토부
10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39 해수부
11 공항시설법 8 국토부
12 관광진흥법 16 문체부
18
58
13 광업법 43 산자부
14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52 국토부
80
15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11조의4 보훈처
16 국방ㆍ군사시설 사업에 관한 법률 7 국방부
17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27 문체부
18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17 문체부
1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42 국토부
61
92
20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14 국방부
21 규제자유특구 및 지역특화발전특구에 관한 규제특례법 64 중기부
65
22 금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26 환경부
23 급경사지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14 행안부
24 기업도시개발 특별법 13 국토부
25 낙동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28 환경부
26 노후거점산업단지의 활력증진 및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법 15 산자부
27 농어촌도로 정비법 12 행안부
28 농어촌마을 주거환경 개선 및 리모델링 촉진을 위한 특별법 17 농림부
29 농업생산기반시설 및 주변지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 15 농림부
30 농업인등의 농외소득 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11 농림부
31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9 농림부
32 대기환경보전법 24 환경부
44조의3
33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9 환경부
34 댐 주변지역 친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특별법 15 국토부
35 도로법 29 국토부
36 도시개발법 19 국토부
52
37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57 국토부
85
38 도시철도법 8 국토부
39 도청이전을 위한 도시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16 국토부
40 동ㆍ서ㆍ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 15 국토부
41 마리나항만의 조성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16 해수부
42 무인도서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18 해수부
43 문학진흥법 23 문체부
44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28 문체부
45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21 국토부
30
46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12 환경부
47 물환경보전법 33조의2 환경부
48 민간인 통제선 이북지역의 산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16 산림청
49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29 국토부
50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 18 행안부
51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20 국토부
52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55 국토부
53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17 기재부
54 산림문화ㆍ휴양에 관한 법률 20조의2 산림청
55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 37 산림청
56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21 국토부
57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13조의2 산자부
14
14조의2
33조의2
45조의4
58 새만금사업 추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17 국토부
59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관리 등에 관한 법률 13 행안부
60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 16조의3 산림청
61 소하천정비법 10조의2 행안부
10조의3
62 송유관 안전관리법 4 산자부
63 수자원의 조사ㆍ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14 환경부
64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15 국토부
65 신항만건설 촉진법 9 해수부
66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22 국토부
67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 33 문체부
68 어촌ㆍ어항법 8 해수부
69 어촌특화발전 지원 특별법 15 해수부
16
70 여수세계박람회 기념 및 사후활용에 관한 특별법 19 해수부
71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 16 국토부
72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29 과기부
73 연안관리법 26 해수부
74 영산강ㆍ섬진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26 환경부
75 온천법 10조의2 행안부
16조의2
76 용산공원 조성 특별법 17 국토부
28
77 유선 및 도선 사업법 3조의2 행안부
78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 16 산자부
79 유통산업발전법 9 산자부
30
80 자연공원법 21 환경부
81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14 행안부
82 재해위험 개선사업 및 이주대책에 관한 특별법 17 행안부
83 저수지ㆍ댐의 안전관리 및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21 행안부
84 전시산업발전법 27 산자부
85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40 중기부
86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 14 행안부
87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148 국토부
88 주택법 19 국토부
89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 29 행안부
90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5 국방부
18
91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36 산자부
92 지방소도읍 육성 지원법 9 행안부
93 지역 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 24 국토부
46
94 집단에너지사업법 49 산자부
95 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 11 국토부
96 청소년활동 진흥법 33조제1 여가부
33조제2
52
97 초지법 20 농림부
98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 15 환경부
99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 15 문체부
100 폐광지역 개발 지원에 관한 특별법 12 산자부
101 폐기물관리법 32 환경부
102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12 환경부
103 하수도법 17 환경부
104 하천법 32 국토부
105 한강수계 상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15 환경부
106 한국가스공사법 16조의3 산자부
107 한국수자원공사법 18 환경부
108 한국환경공단법 19 환경부
109 항로표지법 15 해수부
110 항만공사법 23 해수부
111 항만법 85 해수부
112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14 국토부
113 해수욕장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38 해수부
114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지정 및 육성 등에 관한 특별법 29 해수부
115 해양심층수의 개발 및 관리에 관한 법률 17 해수부
116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46조의4 국토부

행정기본법 질의응답사례집 52페이지 부터64페이지

 

행정기본법 해설서 239페이지부터 267페이지

 

 

Comments